반응형
<학습 목표>
- 목표 고객에게 전달할 마케팅 메시지를 구성한다
- 마케팅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설계한다
- 설계된 방법과 내부 가용 자원을 토대로 촉진 전략을 수립한다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과정 모델, 매체 전략, 마케팅 촉진 전략의 수립, 판매 촉진 활동, Public Relation과 홍보 활동
1.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과정 모델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매크로 모델

02. 소비자 반응 모델
1) 인지 awareness - 지식 knowledge - 호감 liking - 선호 preference - 확신 conviction - 구매 purchase
마케잉에서 가장 중요한 것? Needs, Wants, and Demands.
- 니즈란 현실과 이상의 갭 사이에 발생된 텐션. 문제점의 인식. 불편성의 자극으로 필요성의 창조. 인지에 해당한다. 이 때 고객은 필요성을 느끼고 탐색을 통해 지식을 쌓아간다. 대상에 대한 리스트가 생기고, 특정 대상에 대한 호감이 생기고(wants), preference 즉 선호에 의해 조건화가 생기게 되고 선택 고려 대상군에 들어가게 된다. 압축된 대상군에서 확신이 들게 되면 결정을 하게 되는 것.
- 이 전체 수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 시장조사 / STP / 4P
2) 이상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모델
- 알맞은 소비자에게 적시 적소에서 효과적인 메시지를 노출시킬 것
- 광고는 소비자에게 주목하도록 하지만 의도하는 메시지가 산만해서는 안 된다
- 광고는 소비자들의 제품과 브랜드의 이해 수준과 소비자 행동들을 반영한다
- 바람직하고 인지 가능한 차이점(POD: points of difference)과 균형점(POP: point of parity) 관점에서 브랜드를 위치시킨다
- 광고는 브랜드 구매를 고려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 광고는 소비자들이 의사결정을 할 때 임팩트를 가질 수 있도록 축적된 커뮤니케이션 효과들로 강력한 브랜드 연상을 창출한다
3) 소비자 반응 모델

매체 전략
01. 매체 목표의 선정
- 도달 범위 Reach: 일정 기간 동안 청중이 광고에 노출된 수나 비율. 청중의 인지 여부와는 관계가 없음
- 노출 횟수 Frequency: 일정 기간 동안 청중이 광고에 평균적으로 노출된 횟수
- 총 도달률 (GRPs: Gross Rating Points): 특정 광고 캠페인에 목표 청중이 노출된 총 도달률 또는 중복된 시청자의 수. 도달 범위에 노출 횟수를 곱하여 산출함. => GRPs = Reach * Frequency
- 비용: CPM(cost per milli)지표를 가장 많이 사용함. 즉, 1000명의 청중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
- CPC, CPS 등도 참고
02. 매체 전략 수립하기
매체 유형의 선정
매체 수단의 선정: 매체 분석 / 문맥 적합성 / 메시지의 중복
03. 매체 수단별 광고 집행과 평가
아 존나 재미없어서 못하겠다. 실무 몇 번 뛰어보면 다 아는 내용을.... 휴..
반응형
'[MOOC] KHCU'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쉽과 변화 관리] 전통적인 리더십이론 중 행동이론 (0) | 2020.04.06 |
---|---|
[리더십과 변화 관리] 전통적인 리더십이론 중 특성이론 (0) | 2020.04.06 |
[마케팅 포지셔닝] 유통경로 선정요인의 분석과 설계 (0) | 2020.04.03 |
[소비자 행동론] 태도의 특성과 구조 그리고 기능 (0) | 2020.03.28 |
[소비자 행동론] 기억의 통제와 기억 이론의 응용 (0) | 2020.03.28 |